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'오징어게임'이 화제를 불러 모으고 있는 가운데 우승상금인 456억원을 현실에서 수령할 경우 세금은 얼마나 내야 할지 무척이나 궁금한데요.
만약에 내 통장에 '오징어게임' 우승상금 456억원이 통장에 입금될 경우 어떤 세금들이 얼마만큼 빠져나가는지 현행 조세법상 과세 기준으로 정리한 자료가 있어 눈길을 사로잡게 합니다.
국세청에 따르면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'오징어게임' 속 우승상금 456억원에 대한 세금은 게임 성격에 따라 과세 기준이 다르다고 합니다.
먼저 단순히 '오징어게임'을 대회로 본다면 상금에 기타 소득세를 매기는 것 또는 주최 측에서 상금을 증여했다고 보고 증여세를 무는 등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.
현행 소득세법상 대회 상금은 기타 소득세로 분류되는데 경우 국세 20%에 해당하는 세금을 원천징수하게 됩니다.
우승상금 456억원을 수령하되 기타 소득세로 매길 경우에는 주최 측이 20억 640만원을 뗀 뒤 나머지 금액 435억 9360만원을 지급하게 됩니다. 즉, 쉽게 말하면 통장에 435억 9360억원이 들어오는 것입니다.
20억 640만원은 어떻게 계산된 것일까. 경비로 인정 받은 80%를 제하고 남은 금액인 91억 2000만원에서 20%를 곱하고 18억 2400만원을 빼고 여기에 지방세 10%를 추가한 금액입니다.
또한 다음해 5월 종합소득신고의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는 최고세율 45%가 적용돼 지방세와 소득세를 제외한 24억 3606만원을 신고하고 납부하면 됩니다.
참고로 소득세법상 종합 소득세율은 6~45%인데 10억원을 초과하는 소득에는 최고 세율인 45%가 적용된다고 합니다. 반대로 '오징어게임'이 특정 참가자에게만 허용되는 제한된 대회일 경우 세금 계산이 달라집니다.
상금 456억원 전액을 소득으로 보고 여기의 20%인 91억 2000만원을 기타 소득세로, 이 금액의 10%인 9억 1200만원을 지방세로 계산, 총 100억 3200만원을 원천징수하게 됩니다.
또한 이듬해 종합소득액은 124억 6806만원입니다. 456억원의 45%에 6540만원을 공제한 204억 5460만원이 종합 소득세, 여기서 10%인 20억 4546만원이 지방세로 총 225억 6만원을 내야 합니다.
이럴 경우 통장에 남은 돈은 231억원 밖에 안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. 결국 '오징어게임' 경기의 성격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세금 내는 금액은 달라지게 되는 셈입니다.
댓글 영역